검색결과 리스트
글
충돌증후군 문제알고 치료하기
충돌증후군이란 회전근개를 감싸고 있는 두 관절이 서로 충돌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충돌증후군에는 대표적으로 두 개의 원인을 꼽아볼 수 있겠는데요. 하나는 골극의 형성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충돌증후군, 또 다른 하나는 회전근개의 섬유화로 인해서 나타나는 충돌증후군이 있습니다. 이 두 원인은 서로 다르기 떄문에 치료도 다르고 어찌 보면 이름만 같고 다른 질환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인데요. 오늘은 이 충돌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골극의 형성
충돌증후군의 원인 중 골극의 형성이란 뼈가 자라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회전근개를 감싸고 있는 견봉이 자라나게 되는 증상으로 인해 충돌증후군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견봉과 상완골두가 서로 충돌하게 되어 나타나게 되는 질환인 만큼 견봉을 다듬어 주어 충돌을 방지해주어야 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견봉이 자라나는 증상은 성인이 되면 좀처럼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종종 나타나는 경우를 볼 수 있겠으며 수술이 어려운 병원에서는 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의뢰하기도 합니다.
만일 견봉에 골극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다른 힘줄이나 관절을 건드리지 않는다면 구태여 수술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2. 회전근개의 섬유화
회전근개는 삼각근 안에 있는 네 개의 근육을 말하며, 섬유화는 근육의 탄력이 저하되어 나타나게 되는 증상입니다. 즉, 회전근개의 섬유화란 회전근개의 근육 중 특정근육에서 탄력이 저하되는 노화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 경우 이를 감싸고 있는 두 관절이 중심을 잃어 서로 충돌하게 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 증상이 오랜 시간 이어지게 될 경우 여러 질환으로 번질 수 있겠는데 충돌증후군 뿐 아니라 회전근개파열, 관절와순파열, 유착성관절낭염 등 여러 질환으로 번지게 될 수 있습니다.
섬유화성 충돌증후군의 경우 섬유화된 근육을 치료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근개의 탄력을 유연하게 풀어주어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굳고 뭉친 힘줄을 치료해주는 것으로 충돌증후군을 치료해줄 수 있겠으며 이 치료에는 수술이나 큰 시술을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오늘은 충돌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깨가아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착성관절낭염 팔통증 치료 바르게 (0) | 2018.01.17 |
---|---|
석회성건염 무슨 증상부터 해결해야할까 (0) | 2018.01.17 |
회전근개손상 정확한 문제를 찾아요 (0) | 2018.01.16 |
오십견 유착증상은 어떻게 치료할까 (0) | 2018.01.16 |
회전근개파열 질환의 원인과 증상은 무엇일까 (0) | 201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