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석회성건염 알아야 치료하지요~
석회성건염이란 힘줄 안에 석회가 침착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석회성건염은 언뜻 보기에 석회만을 치료해준다면 될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석회 뿐 아니라 석회를 일어나게 한 바탕인
힘줄까지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만일 힘줄을 치료해주지 않는다면
석회성건염은 재발할 우려가 큰 질환인데요. 그래서 이 질환에 대한
재발건의 문의가 많은 편입니다.
석회성건염은 힘줄의 탄력저하로 인해서 나타나게 됩니다.
석회생성물질은 힘줄에서 나타나게 되고, 만일 건강한 힘줄로
힘줄의 탄력이 살아 있다면 이 물질은 힘줄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힘줄이 탄력을 잃어 굳게 되었다면
이 물질은 나오지 못하고 안에서 굳어버리게 됩니다. 이것이 석회로
이어지게 되고 힘줄에 염증을 일으키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힘줄의 탄력저하는 노령화 등으로도 나타나지만 그보다는
체질이나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이 석회성건염의 경우에는 나이가 많으신 분들 뿐 아니라
비교적 젊은 30대, 40대 등에게서도 적지 않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석회성건염은 겉으로는 증상을 확인하기가 어려울 만큼
특정한 증상이 없습니다. 다만 통증이 심할 경우 종기가 곪는 것과
같다고 하여 화학성 종기라고 불리기는 합니다. 이 경우에는
마취가 어렵기도 하거니와 응급실을 찾게 되는 환자 분들도 적지
않을 정도입니다.
석회가 말랑거릴 경우에는 통증이 심하며, 단단하게 굳어 있을
경우에는 통증이 미미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석회의 상태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검진을 통해 치료의 일정을
맞추어야 합니다.
만일 석회가 단단할 경우에는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서 석회를
제거하고 힘줄의 탄력을 치료하면 되지만, 석회가 말랑거려 염증이
있을 경우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바로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석회를 단단하게 만들고 힘줄의 탄력을 치료하면서
석회가 굳기를 기다리다가 시간이 지나게 되면 석회를 깨어 체내밖으로
배출시켜야 합니다.
석회성건염은 보통 수술이 필요한 질환은 아니며, 잘 알아보시면
좋은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을 받아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어깨가아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이아파요 증상은 어때요 (0) | 2017.08.14 |
---|---|
회전근개증후군 팔의 움직임이 수상하다? (0) | 2017.08.14 |
근막통증증후군 문제는 원인에 (0) | 2017.08.12 |
어깨가너무아파요 증상과 치료는 (0) | 2017.08.11 |
등이아픈이유 걱정말고 치료 (0) | 2017.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