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이라고 하면 대부분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통증이 심하다거나 팔이 잘 올라가지 않는 증상을 보이게 되면 '나도 오십견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경우까지 보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통증이 심하다거나 팔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고 해서 오십견이라고 보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오십견은 단지 질환 중 하나일 뿐이며, 오십견만의 증상이라는 것은 사실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므로 의사들도 겉으로만 보고서는 오십견 진단으로 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어깨 질환은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관련 질환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섬유화

만성적인 질환의 경우에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하겠지만, 대개 주요 원인을 꼽아보자면 섬유화를 꼽아볼 수 있습니다.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며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힘줄의 질환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힘줄이 오랜 시간 굳고 뭉치게 되는 상태를 섬유화라고 부릅니다. 즉, 섬유처럼 질겨지고 뻣뻣해지게 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섬유화라고 부르며, 이 증상이 심해지게 되면 힘줄이 닳아 떨어지거나 구멍이 난다거나 물이 차오르는 증상, 또는 부풀어 오르는 증상 등 특징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면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리고 석회가 생긴다거나 견관절의 충돌이 생기는 등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하기까지 합니다.



| 회전근개

이러한 섬유화는 어깨통증에서 회전근개라는 기관에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회전근개란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임이며, 각 근육의 명칭은 극상근, 극하근, 견갑근, 소원근이 됩니다. 이 네 근육이 서로 모여 팔을 움직이게 하거나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회전근개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는데요. 회전근개의 기능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견관절을 견고히 하여 팔에 안정감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은 회전근개-근육-힘줄의 단위까지 진단이 필요하며, 힘줄의 섬유화로 인해 물리적 손상을 입었는지 힘줄단위까지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힘줄의 단위는 정확한 검사를 통해 치료한다면 수술이나 큰 시술이 없더라도 치료할 수 있습니다.



|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을 나열해보자면 회전근개파열, 충돌증후군,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오십견, 습관성탈구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이 섬유화라는 단일 원인으로 인해서 생겨나게 되는 만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 치료

이러한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굳거나 뭉친 힘줄을 유연하고 탄력있게 치료하는 섬유화 치료를 통해 관련 질환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굳고 뭉친 힘줄을 유연하고 탄력있게 강화시키는 섬유화 치료를 통해 재발이나 이후의 합병을 막아주며, 또한 물리적 손상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질환의 치료 이후 섬유화를 해결하는 힘줄 강화치료는 재발을 막아주는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한 치료이기 때문에 힘줄의 치료에서 빠지지 말아야 하는 치료이기도 합니다.





▼자가진단을 받아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posted by 순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