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어깨가 아픈이유 회전근개의 만성질환
회전근개란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된 기관으로 팔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네 근육의 명칭은 극상근, 극하근, 견갑근, 소원근이라고 부르는데요. 팔을 활동하게 하고 어깨 관절을 사방에서 꽉 잡아주어 어깨가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반대로 회전근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기능에 어려움이 생겨 특이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팔을 잘 올리기 어려워진다거나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증상, 또는 관절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탈구나 관절충돌의 증상 등이 그렇습니다. 또한 회전근개는 어깨통증질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는 만큼 어깨질환을 유발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가운데 증상으로는 섬유화가 있습니다.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합니다.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힘줄, 인대나 근막 등에서 섬유화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어 여러 질환을 유발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회전근개의 섬유화성 질환을 나열해보자면 회전근개파열, 오십견,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섬유화라는 단일 원인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만큼 합병이나 재발 등을 통해서 관련 질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특히 회전근개파열과 석회성건염의 경우에는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회전근개의 질환으로써, 오십견과 그 증상이 비슷하여 오해를 사기 쉽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검사를 통해 회전근개의 질환을 파악하는 것은 무척 중요한 일인 셈입니다.
흔히 어깨가 아플 때, 마사지나, 부항, 통증 주사 등의 요법을 통해 치료하고자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러한 요법은 섬유화를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어깨통증을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것들은 일시적인 완화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에 치료와 병행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법들은 어디까지나 섬유화를 치료하는 것과 병행해야지, 단독으로 치료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가급적 섬유화성 질환은 정확한 검사와 치료를 받으셔야 하겠습니다.
섬유화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검사를 통해 섬유화성 질환이나 섬유화된 인대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즉, 어디가 문제이고 어떻게 치료해야하는지를 검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요. 겉만 본다거나 증상만으로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힘줄이나 인대를 볼 수 있는 장비를 통해 문제 기관을 보고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굳거나 뭉친 힘줄을 유연하고 탄력있게 치료하는 섬유화 치료를 통해 관련 질환의 힘줄을 치료해주어야 하겠습니다. 굳고 뭉친 힘줄을 유연하게 강화시킨다면, 재발이나 합병을 막을 수 있겠으며 힘줄이 닳거나 갈라지는 증상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회전근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자가진단을 받아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