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석회성건염 증상과 유착증상

순아기 2017. 11. 29. 02:31




석회성건염은 회전근개 힘줄 안에서 석회가 생기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입니다. 석회가 나타났기 때문에 간혹 어깨에 이물감이 이다거나 파열음이 들릴 것으로 오해하시는 분들도 많으신 줄로 압니다. 하지만 석회성건염이라고 특이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검사가 있기 전까진 파악하기가 오히려 어려운 질환입니다. 



석회성건염의 경우 석회의 상태에 따라 엑스레이로 촬영이 가능하기도 한데요. 이 때 발견되었을 때 어깨에 돌이 있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종종 어깨관절의 질환이라고 오해를 하시기도 하시는데요. 석회성건염은 건(힘줄)염(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사실 힘줄의 질환이 맞는 표현입니다.





1. 원인

석회성건염의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로는 회전근개의 섬유화입니다. 회전근개란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된 기관이며, 섬유화는 섬유처럼 질겨지고 뻣뻣해지게 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증상을 말합니다. 





-회전근개

회전근개는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된 기관으로 팔을 움직이게 한다거나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워낙 왕성한 활동성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에게 문제를 많이 야기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한 편으로 회전근개는 신경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문제가 많이 나타나도 조기에 발견이 어려운 편입니다.




-섬유화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며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힘줄이 오랜 시간 굳고 뭉치게 되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게 되는 질환인데요. 체질이나 유전, 노령화 등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며 이후 여러 질환으로 번지게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섬유화성 질환으로는 충돌증후군, 회전근개파열, 유착성관절낭염, 석회성건염이 있습니다.






2. 증상

석회성건염은 이렇다할 증상은 없지만 통증이 심한 경우 종기가 곪는 것과 같다고 하여 화학성종기라고 불리게 됩니다. 그만큼 통증이 심하며 응급실에 실려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3. 치료

석회성건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굳거나 뭉친 힘줄을 유연하고 탄력있게 치료하는 섬유화 치료를 통해 관련 질환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힘줄의 치료와 함께 석회를 제거해야 석회성건염을 치료해줄 수 있으며, 만일 힘줄이 치료되지 않으면 재발의 우려가 높아지게 됩니다. 


석회의 제거 역시 석회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석회가 단단할 경우 바로 제거할 수 있지만, 말랑거리거나 산발적으로 퍼져있는 경우에는 석회의 통증이 상당하므로 이를 진정시킨 다음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오늘은 석회성건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가진단을 받아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