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가아파요

회전근개파열 통증이 커지면 문제는

순아기 2017. 10. 30. 07:35

회전근개파열 통증이 커지면 문제는






회전근개란 삼각근 안에 위치한 근육의 모임으로 팔을 움직이게 한다거나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관입니다. 회전근개파열이라는 질환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파악해야 하며,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이 회전근개파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전근개파열의 주된 원인

회전근개파열의 주된 원인으로는 섬유화라는 만성적인 증상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섬유화란 힘줄이 섬유처럼 질겨지고 뻣뻣해지게 되는 것을 말하며 힘줄의 탄력저하로 인해 여러 질환으로 번지게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섬유화성 질환으로는 회전근개 외에도 충돌증후군이나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등 여러 질환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섬유화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인 만큼 가급적이면 빠른 치료를 통해 관련 질환을 치료해주시는 것이 좋겟습니다.


섬유화는 체질, 유전, 노령화 등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됩니다.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어느정도의 섬유화를 가지고는 있으며 이 섬유화는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섬유화가 여러 복합적인 원인으로 정도가 지나치게 될 경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섬유화의 초기증상은 결림이나 뭉침 등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때 이를 마사지나 부항, 단편적인 침치료, 주사치료를 받는 분들이 많으신 줄로 압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완화효과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섬유화된 힘줄은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증상은 심해지게 됩니다.



회전근개는 신경의 분포가 적고 팔을 움직이게 하며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관입니다. 신경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섬유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닥 하더라도 증상이 미미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가 힘줄이 닳고 갈라진다거나 떨어지게 되면 그제서야 통증과 유착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회전근개의 기능이 팔을 움직이게 하는 것인 만큼 파열이 나타나게 되면 이러한 기능이 조금씩 어려워지게 되어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유착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 증상 때문에 오십견으로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두 질환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회전근개파열의 치료

회전근개파열을 치료해주기 위해서는 굳거나 뭉친 힘줄을 찾아 이를 유연하고 탄력있게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해주어야 하므로 정확한 힘줄의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자가진단을 받아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